15 족양명조 위토경 : 정신 얼굴 소화 배 다리 : 양해41임함43상여45

 *족양명조 위토경  The Leg Yangmyeong Stomach Meridian : ST


st 27 대거혈: 변비, 고혈압, 불면, 불임 -배꼽에서 2촌 옆, 2촌 아래

장(腸), 위(胃) 등 소화기계통질환, 신경정신계질환, 호흡순환계병증, 인후, 머리, 얼굴, 입, 치아, 코, 병증 및 위경이 경과하는 부위의 병증을 주치한다.

오행(五行)상으로 토(土)에 속하며 비경(脾經)과 표리(表裏)관계에 있다. 위경(胃經)은 표·양에 속하고 다기다혈(多氣多血)하다. 순행노선은 체내에서는 위(胃에) 속하고 비(脾)에 연결된다.


체표(體表)에서는 비익(鼻翼)의 양측 영향에서 시작하여 상행해서 비근부(卑近部)에 이르러 가까운 족태양경(足太陽經)과 교회(交會)하고 밑으로 내려와 코의 바깥쪽을 따라서 측두부(側頭部), 면부(面部), 경부(頸部), 흉복부(胸腹部), 하지외측(下肢外側)의 전면을 거쳐 발의 제2지단에 이른다. 본경(本經)은 모두 45혈로 되어 있다.


주로 얼굴, 입, 이(耳,) 인후(咽喉), 위장(胃臟)을 치료하며 머리, 열병(熱病), 정신병(精神病)도 치료한다. 상복부(上腹部), 제8흉추에서 제1요추까지를 치료하기도 한다.


위(胃)는 상복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완부(脘部) 혹은 위완부(胃脘部)라고도 일컫는다.위의 상구(上口)는 분문을 통하여 식도(食道)와 이어지고 그 하구(下口)는 유문을 통하여 소장과 접한다. 위의 주요 기능은 구강에서 식도를 거쳐서 들어온 음식물을 받아 잠시 저장해 두며 소화시켜 죽을 만들어 소장으로 보내는 일이다.


 

ST1 승읍(承泣) ST2 사백(四白) ST3 거료(巨?)

ST4 지창(地倉) ST5 대영(大迎) ST6 협거(頰車)

ST7 하관(下關) ST8 두유(頭維) ST9 인영(人迎)

ST10 수돌(水突) ST11 기사(氣舍) ST12 결분(缺盆)

ST13 기호(氣戶) ST14 고방(庫房) ST15 옥예(屋?)

ST16 응창(膺窓) ST17 유중(乳中) ST18 유근(乳根)

ST19 불용(不容) ST20 승만(承滿) ST21 양문(梁門)

ST22 관문(關門) ST23 태을(太乙) ST24 활육문(滑肉門)

ST25 천추(天樞) ST26 외릉(外陵) ST27 대거(大巨)

ST28 수도(水道) ST29 귀래(歸來) ST30 기충(氣衝)

ST31 비관(?關) ST32 복토(伏兎) ST33 음시(陰市)

ST34 양구(梁丘) ST35 독비(犢鼻) ST36 족삼리(足三里)

ST37 상거허(上巨虛) ST38 조구(條口) ST39 하거허(下巨虛)

ST40 풍륭(豊隆) ST41 해계(解谿) ST42 충양(衝陽)

ST43 함곡(陷谷) ST44 내정(內庭) ST45 여태(?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폐의 경혈. 좌우 22혈. 중부, 운문

Sp7 누곡 : 누(漏)는 새어나오다 라는 뜻이고 곡(谷) : 골짜기 새는 증

YE01 Dori Dori exercise: arm swelling and numbness, neck disc, stroke, dementia 도리도리 운동: 팔 붓고 저림, 목디스크, 중풍, 치매

YE03 Feet(Tiptoe) stroke 발끝치기: Improves blood circulation, raises the temperature of the viscera, improves function, improves metabolism

Hive. 두드러기(급성, 만성)

Minerals

12 Neck shoulder and hands 항견수 2 Shoulder 어깨 3 운동

16 Exercises 운동 7 목 자세, 일자목, 거북목, 목디스크, Forward head pos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