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4 복부 근육들 ( abdominal muscle ) 복횡근(골반저근)-복직근-(추체근)-내복사근-외복사근-(전거근)

 복부 근육들 ( abdominal muscle ) 복근

1.근육해설

치골결합 바로 위쪽에 추체근이 복직근 선상에 있다. 방광괄약근과 연관되는 근육이다.

복부 측면은 바깥에서부터 외복사근, 내복사근, 복횡근으로 구성 되어 있다.

가성내장성 통증, 강한 상호적인 체내장성 작용과 내장체성 작용이 나타난다.

비만은 복직근 보다는 복사근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복강의 압력 증가 및 감소 요인이 될 수가 있고 장기의 운동과 관련된다.

허리의 통증은 대개가 복부의 긴장과 연관이 되어 있고, 복근은 요통의 직, 간접적 원인이 되기도 한다.

코어강화운동의 핵심인 iap(intra-abdominal pressure)를 만드는 핵심근육들 이다.

내외복사근 - 특히 외복사근은 코어강화의 핵심, 외복사근은 전거근과 발생학적으로 같은 기원을 가지고 있다.

복횡근은 팔을 뻗는 것, 대뇌의 반응보다 먼저 근수축을 하고 골반저근육(pelvic floor muscle)은 복횡근과 동시수축 한다.

복횡근-복직근-내복사근-외복사근 순서로 수축한다.

총 5개의 근육으로 이루어진 배근육은 복부의 중심에 수직으로 위치한 근육은 복곧은근(복직근)과 배세모근(추체근)이며, 복직근보다 몸의 외측에 위치한 근육은 배가로근(복횡근), 배속빗근(내복사근), 배바깥빗근(외복사근)입니다.







2.해부학적 부착

   (1)복직근 : 제 5,6,7늑연골 / 치골릉

   (2)추체근 : 치골결합에서 배꼽사이의 백선 / 치골결합

   (3)외복사근 : 제6~12번 늑골 / 백선, 장골능의 전반부와 복부 건막

   (4)내복사근 : 서경인대의 외측절반, 장골능 전방 2/3하부 요부 건막 / 제9~12늑연골, 복부 건막

   (5)복횡근 : 서경인대의 외측 1/3흉요부 근막과 하부 6개 늑연골의내측 / 백선 치골 복부건막

   (6)신경지배 : 복직근 - T5~T12늑간신경

                   추체근 - 12번째 흉추신경 즉 T12~L1

                  외, 내복사근, 복횡근 – 제8~12늑간신경, L1신경

3.기능적 관점

전체적으로 복부의 근들은 체간의 굴곡, 회전, 측굴, 복압과 호흡에 관여한다. 또한 복부근육의 활동은 호흡뿐만 아니라 복부에서 정맥혈을 배출해 내는 데 도움을 준다. 복벽의 이완은 하지에서 복부 내 정맥으로 들어오는 정맥혈의 흐름을 증가시킨다.

복벽의 근육이 호기를 위해 수축할 때 하지정맥의 판들이 충분히 작동한다면 혈액은 심장을 향하여 강력하게 위로 배출된다. 즉 복부근육이 장맥판에 작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하지의 정맥순환에 크게 작용한다. 이 외에도 복근들의 움직임은 장부의 운동에 관련하여 순환을 촉진 시킨다.

복직근 – 골반을 고정하는 경우

골반과 하지를 고정하는 경우 복직근의 수축은 흉고과 늑연골에 작용하여 치골의 방향으로 끌어내리는 기능을 한다. 이때 복압의 상승과 함께 먼저 등의 근육들이 이완이 되면서 흉추가 굴곡을 하게 된다. 복직근을 먼저 일으키면서 하부까지 힘을 주는 것이 순리이다.

복직근 – 흉곽을 고정하는 경우

흉곽을 고정하고 복직근을 수축하게 되면 자연히 골반에 영향을 주게 된다. 복직근의 부착 부위인 치골을 위로 끌어올리는 기능과 함께 하복이나 골반강의 복압이 강하게 작용하게 된다.

윗몸일으키기 동작의 경우 약 45도 정도에서 강한 수축력을 발휘한다. 그리고 복직근을 강화할 때는 상부와 하부를 달리하여 운동을 하는 것이 복직근을 고르게 발달시킬 수가 있다.

외복사근 – 편측수축시 동측의 흉곽을 회전 시키면서 측굴이 일어나게 한다. 그리고 늑골을 아래로 끌어당기게 되면서 하부 흉곽을 복직근 쪽으로 잡아 당기게 되어 흉곽의 하구가 좁아지게 한다. 양측수축시 복직근을 도와 체간을 굴곡시킨다 이때 하부 흉곽의 양측 늑연골들이 강하게 안으로 모이게 된다.

복직근과 복사근들은 기능을 같이 한다. 


내복사근 – 편측수축시 동측으로 측굴을 하는데, 내복사근은 흉곽에 작용하는 힘보다 오히려 골반에 작용하는 힘이 더 강하다. 양측수축시 골반의 전방전위를 일으킨다. 결과적으로 요추의 전만을 유도한다.


복횡근 – 복근들 중에서 가장 심부에 있는 근육으로 복강과 제일 가까우며, 주로 복압의 증가와 관련이 깊다. 그렇기 때문에 배뇨, 배변, 분만 등에 복압을 제공하는 주 근육이다. 그리고 복직근들이 호흡에 의해 움직일 때 협조를 가장 많이 한다고 보면 된다.




 




+Plus 동작별로 복근의 기능




 




체간의 굴곡


흉요추의 굴곡을 시킨다. 복근의 수축을 유도하는 것은 흉쇄유돌근이며, 견갑골의 전거근과 상지의 대흉근이 협조를 한다. 복직근은 흉최장근과 길항하고, 요천추가 굴곡 될 때는 요근과 협력한다. 즉 배를 풀어 주지 못하면 허리 병을 못 고친다.


 


복압증가


복강을 구성하는 근육 ( 횡경막, 골반저 근육, 복부근육, 요방형근과 장요근 ) 들이 주로 작용한다. 복부근육은 횡경막과 골반저 근육들과의 관계속에서 복압을 조절한다. 그렇기 때문에 복근의 손상은 호흡근에 대한 과부하를 일으킬 수가 있다. 그리고 골반저 근육에 지속적인 복강 압들에 의한 영향은 비뇨생식기 계통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체간의 회전과 신전


체간의 회전은 복직근을 중심으로 외복사근과 내복사근이 중심이 되어 일어난다. 복사근들은 동측에서 상호 길항작용을 하면서 회전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들의 기능은 체간의 굴곡과 함께 회전을 하는 경우는 상지의 굴곡을 내전을 담당하고 있는 대흉근과 견갑골의 외전을 주도하는 전거근에 의해 보다 더 강화가 된다.


 


측굴


복사근들이 서 있거나 앉아 있는 동안에 일어나는 체간의 측굴에 대해 주동근이 되거나 길항근이 되면서 그 힘을 조절한다. 그리고 복사근의 손상에 의한 과부하들은 심부의 요방형근에 영향을 주거나 장요근에 연결이 되면서 고관절들의 기능과 함께 하지의 발목까지도 연속이 된다.




 




 




4.통증의 양상 및 증상




상부복직근- 문제가 많은 사람은 상부 복직근 부근이 앞으로 불쑥 솟아나와 있는 것을 눈으로 확인 할 수가 있다.


중배부의 통증을 유발한다. 환자는 등 전체가 뻐근하고 묵직하며 답답하다고 호소한다. 그리고 소화계통의 장애를 유발하기도 한다.


중부복직근 – 복북의 경련이나 급성 복통을 주로 일으킨다. 유아들의 복통은 주로 배꼽주위의 복직근의 긴장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다.


하부복직근- 월경주기가 되면 복부의 통증과 함께 생리가 곤란하다. 천장관절 부위의 요통과 그 부위를 중심으로 퍼져나가는 요통을 유발한다. 전상장골극과 배꼽사이에 위치한 발통점의 경우는 급성 충수염과 유사한 증상을 보인다.  환자가 정신적, 육체적으로 피로하거나, 고민 상태에 있거나 여성의 경우 생리가 다가올 때 통증이 주로 발생한다.


복횡근 – 신체 전면의 늑골연 사이에서 상복부를 가로지르는 띠 모양으로 통증을 방사하고 호흡을 할 때 불편하게 한다. 횡격막근의 활동과 관련이 많으며, 주로 이완성 긴장이 더 큰 문제가 된다.


복사근 – 외복사근 상부의 발통점들은 흉곽 하부, 상복부를 가로지르는 수평 혹은 사선 아래쪽으로 확장되는 등의 일관성 없이 통증을 방사한다.


흉곽 rib cage 앞부분의 외복사근의 발통점은 가슴앓이 식도열공 헤르니아와 연관 되기도 한다. 그리고 내복사근의 발통점들은 주로 요통과 관련이 되며, 심한경우는 골반통을 일으키게 되어 몸을 무겁게 만든다.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폐의 경혈. 좌우 22혈. 중부, 운문

Sp7 누곡 : 누(漏)는 새어나오다 라는 뜻이고 곡(谷) : 골짜기 새는 증

YE01 Dori Dori exercise: arm swelling and numbness, neck disc, stroke, dementia 도리도리 운동: 팔 붓고 저림, 목디스크, 중풍, 치매

YE03 Feet(Tiptoe) stroke 발끝치기: Improves blood circulation, raises the temperature of the viscera, improves function, improves metabolism

Hive. 두드러기(급성, 만성)

Minerals

12 Neck shoulder and hands 항견수 2 Shoulder 어깨 3 운동

16 Exercises 운동 7 목 자세, 일자목, 거북목, 목디스크, Forward head pos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