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0 심포 삼초경

 9 [수궐음심포경 (手厥陰心包經)]

대중음곡태대 임중통액삼천



수궐음심포경(手厥陰心包經)은 손으로 흘러가는 궐음의 기운을 가진 경맥이라는 뜻이다. 여기서 궐음은 풍목(風木)의 기운이다. 풍목은 쉽게 봄바람이 불 때 나무들이 땅을 뚫고 올라오는 광경을 떠올리면 된다. 심포를 궐음에 배속한 것은 심포가 잘 막히는 길이기 때문이다. 궐음의 기운으로 그 막힌 곳을 늘 뚫어줘야 한다는 것을 포함한다. 수궐음심포경은 심경(心經)의 작용을 대행하는 기능상의 칭호라 하기도 한다. 즉 심포는 심의 대행기관으로서 전신 조절작용에 관여하며 아울러 심을 보호하여 화경(火經)에 사기(邪氣)가 참입할 시 방어적 역할을 한다.

심포는 심포락(心包絡)이다. 심(心)은 우리가 알고 있는 심장(心臟)이고 포(包)는 그것을 감싸고 있다는 뜻이다. 심(心)이라는 생명력을 담아 보호하고 있는 그릇인 심포는 계속해서 담으려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심(心)만 담는 것이 아니라 심(心)이 주관하는 우리들의 감정, 몸 안에서 생긴 담(痰)도 담아버린다. 문제는통(通)해야 하는데 너무 담으면 심(心)에 문제가 생긴다. 심포경은 심을 싸고 있어서 신(神)을 주관하는 심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심의 신지(神志)에 따라 심포가 의식과 감정의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다. 결국 마음(心)의 용법이 드러나는 곳이 심포다.

심(心)은 몸의 화(火)를 담당한다. 화(火)는 밝게 보는 힘이자 따듯함, 양기의 대명사다. 이 밝은 화(火)의 기운으로 만물을 명확하게 판단하고 따듯하게 품는다. 이 화기(火氣)가 통하지 못하고 막혀버리면 물이 고여 썩는 것과 같이 탁해진다. 그러면 본래의 화기(火氣)가 가지고 있는 성질을 잃어버리고 따듯함이 아닌 따갑고 뜨겁게 된다. 이 뜨거움이 혈맥을 타고 온몸을 돌다 진액을 조리고 담(痰)을 만든다. “화(火)는 담(痰)의 근본이며, 담(痰)은 화(火)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것이다.” 

심포락(心包絡)은 심포 혹은 단중(膻中)이라고도 한다. 심장을 보호하는 심포는 군주지관인 심의 부림을 받는다고 해서 신사지관(臣使之官)이다. 이곳에서 기쁨과 즐거움이 나온다. 심의 열을 조정하고 관리한다. '내경'에는 “심은 인체의 군주로서 사기(邪氣)의 침입을 받지 않으며, 만약 사기가 심을 침범하면 심포락이 먼저 병을 받는다”고 하였다. 그래서 심이 열 받으면 심포락이 병든다. 그래서 생긴 말이 “열입심포(熱入心包)” 혹은 “열사몽폐심포(熱邪蒙弊心包)”다. 앞에 것은 열이 심포로 들어온다는 거고 뒤에 것은 열사가 심포를 무지몽매하게 만든다는 말이다.

심포락(心包絡)은 심장 아래 횡격막 위에 있는데, 격막 아래로 비스듬히 드리워져 횡격막과 서로 붙어 있어 심장과 폐장을 서로 연결시키고 있다. 횡격막은 상초와 중초의 경계다. 상초엔 심폐가 있고 중초엔 비위(脾胃)가 자리 잡고 있다. 쉽게 명치 위쪽이 상초, 명치와 배꼽 사이가 중초, 배꼽 아래가 하초에 해당한다. 여기서 상초와 중초를 매개하고 하나로 묶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심포다. 심포와 한 세트인 삼초(三焦)는 이 상중하초 전체를 감싸면서 연결하여 통하게 만든다. 즉, 심포와 삼초는 늘 통(通)해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하여, 심포락(心包絡)이라고 이름 붙였던 거다. 심포는 심(心)과 그 주변을 연결하면서 통하게 만들어주는 가교역할을 한다

음(陰)에 속하고 오행속성상 상화경(相火經)인 심포경에는 인체 좌우로 각 9개의 경혈이 분포되어 있고, 젖꼭지 옆의 천지에서 시작하여 가운데 손가락의 중충에서 끝난다.
심포에 속하고 삼초(三焦)에 낙하며 발주시간은 술시 (戌시. 오후7~9시)이다.

 

인체에서의 화(火)에 대해서 알아보자. 

화(火)·열(熱)·온(溫)은 모두 양에서 발생하는 것이고 그 성질은 열에 속한다. 화는 열이 극에 달한 것이고, 온은 열이 심해지는 과정이다. 열과 온은 대부분 외사(外邪)가 침입한 것이다. 화는 열이 극에 달해 전화되거나 습이 울결되어 전화되는 외사 뿐만 아니라, 몸 안에 원래 가지고 있던 양기로부터 생겨나기도 한다. 심화(心火)와 간화(肝火)가 이에 해당된다.

화의 성질 4가지이다. 첫째로 화는 양이므로 위로 타오르는 성질이 있다. 양은 성급하게 움직이고 화는 달구어 타오르는 성질이 있으므로 상염(上炎)한다. 상염으로 심신이 요동하면 심번·구갈·광조망동(狂躁妄動:미친 듯이 떠들어대고 함부로 날뜀)하고 정신이 혼미하여 헛소리를 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두번째로 화는 진액을 손상시켜 외부로 새어나가게 하고 음액을 졸인다. 이로 인해 양기가 지나치게 성하고, 허열이 발생하고 허화가 내부에서 치성한다. 즉 음허화왕(陰虛火旺). 음허화왕은 그 화열 증후가 인체의 특정 부위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치통·인후통·골증과 함께 뺨이 붉어지는 관홍이 생긴다. 더불어 음액을 졸이면 정기(精氣) 또한 손상된다. 『소문·음양응상대론』에서 “장화(壯火)는 원기(元氣)를 손상시킨다”고 하였다. 정기가 손상되면 전신성 기능감퇴를 일으킨다. 세번째로 음액을 손상시킨 화는 간풍(肝風)를 일으키고 혈을 요동시킨다. 근맥을 주관하는 간이 자양을 받지 못해 사지추축·목정상시(目睛上視:눈동자가 위를 본다)·경항강직(頸項强直:목이 뻣뻣해짐)·각궁반장(角弓反張:등이 활처럼 휨)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는 간풍내동(肝風內動)의 범주에 속한다. 네 번째로 화가 혈분에 침입하면 옹종·창양을 야기한다. 『영추·옹저』에서 “대열이 그치지 않아 열이 성하면 기육이 짓무르고 기육이 짓무르면 화농한다. 옹이라 한다”고 하였고, 『소문·지진요대론』에서는 “각종 동통·가려움 및 창양은 모두 심에 속한다”고 하였다. 심은 화에 속하고 혈을 주관하므로 옹종과 창양을 심에 귀속시킨 것이다. 

이처럼 화는 사람의 움직임을 주관하지만 지나치면 병이 된다. 화의 성질은 모든 물질을 없애며, 금 기운을 녹이고, 토 기운을 감소시키며, 목 기운을 지나치게 하며, 수 기운을 말린다. 따라서 화로 인해 생긴 병은 그 해로움이 크고 변화가 매우 빠르다. 증상 또한 뚜렷하고 죽는 것도 빠르다. 화가 지나치다는 것은 ‘화가 치솟는다’는 말과 같다. 이를 ‘궐양지화’(厥陽之火)라고 한다. 화는 오장육부에서 비롯한다.

주요혈  오수혈(五腧穴)  
원혈(原穴)대릉(大陵)정목혈(井木穴)(衝)
락혈(絡穴)내관(內關)형화혈(滎火穴)노궁(勞宮)
극혈(郄穴)극문(郄門)수토혈(輸土穴)대릉(大陵)
모혈(募穴)전중,단중(膻中)경금혈(經金穴)간사(間使)
배유혈(背兪穴)궐음유(厥陰兪)합수혈(合水穴)곡택(曲澤)

 

[심포경 오수혈]

-.중충(中衝)

중충의 중(中)은 가운뎃손가락을 말한다. 충(衝)은 요충지다. '충(衝)'은 통로, 길, 막다른 곳의 뜻이 있다. 따라서 중충은 ‘가운뎃손가락의 막다른 곳’을 뜻한다. 위치는 가운뎃손가락 손톱 밑의 중점과 가운뎃손가락 손톱 모서리, 두 군데를 잡는다. 수궐음심포경의 기는 팔 안쪽 가운데를 지나 가운뎃손가락 끝으로 곧게 간다. 이렇게 경락이 곧게 돌진하는 곳은 빙 둘러가는 곳에 비해 행동이 빠르고 혈기가 왕성하다. 다른 손가락에 비해 혈행이 빠르고 움직이는 힘이 유달리 크다. 정혈 중에서 중충이 구급혈로 손꼽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중충은 수궐음심포경의 정혈로서 오행상 목(木)에 속한다. 목은 봄의 기운이다. 스프링처럼 튀어 오르는 돌파력이 제 성질이다. 몸의 한가운데를 가로질러 곧장 흐르는 빠르고 센 힘. 그 힘이 중충의 힘이고 목기(木氣)다. 중충은 안팎으로 꽉 막혀 마비된 몸을 빠르게 뚫어주어 심장마비나 뇌출혈, 뇌경색으로 의식불명시 구급혈로 쓸수 있다.

『동의보감』에는 중풍의 전조증상에 대해 이렇게 알려준다. “가운뎃손가락이 감각이 무디고 움직임이 둔하거나 쓰지 못하게 된 경우는 3년 안에 반드시 중풍이 올 것”이라 했다. 가운뎃손가락의 감각이 무딘 것은 심포경이 마비된 것이다. 

 

-.노궁(勞宮)

노궁의 노(勞)는 노동을 뜻하는 글자이기 때문에 노동, 피로와 관련 있다. 손바닥의 정중앙에 위치한다. 주먹을 쥐었을 때 가운뎃손가락과 네 번째 손가락이 누르는 곳, 그 사이가 바로 노궁혈이다. 하여, 장중(掌中)이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다. 손바닥의 중앙에 있으면서 가장 힘을 많이 쓰는 곳. 이게 노궁이라는 혈자리다.

노궁은 육체와 정신의 피로를 풀어주는 대표적인 혈자리다. 피로로 인해서 생기는 열과 화를 가라앉히는 것이 노궁의 대표적인 효능이다. 간혹 피로해서 입술이 터지고 입안에 종기들이 났을 때는 아주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그래서 피로로 인한 화기망동에는 반드시 노궁을 써야 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 무엇보다 노궁은 손바닥의 땀이 많이 나는 증상에 효력을 발휘한다. 손바닥에 열과 땀이 가득한 분들은 수시로 노궁을 마시지 해주면 효과가 있다.
그렇다면 노궁은 화기를 제압하는 원리는 간단하다. 노궁은 수궐음심포경의 형화혈(滎火穴)이므로  화(火)의 속성을 가진다. 심포는 몸의 군주인 심(心)을 보좌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장부이므로, 우리 몸에서 심(心)에 문제가 생기면 일단 심포부터 건드린다. 왕이 잘못되면 일단 그 호위무사나 어의, 내관들부터 벌하는 원리와 유사하다. 즉, 노궁을 다스려 열 받고 화마(火魔)에 휩싸인 심(心)의 열을 뺀다는 것이다. 실제로 몸에 열이 나고 극도의 피로감으로 정신이 혼미해질 때 노궁을 눌러주면 정신이 맑아지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 대릉(大陵)

대릉의 ‘대’는 높고 큰 것이다. ‘릉’은 언덕이다. 높고 큰 언덕, 대릉은 손바닥을 지나 높은 언덕 아래 있다. 주먹을 움켜쥐고 손목을 약간 뒤로 굽히면 두 힘줄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그 사이의 오목한 곳이 대릉이다. 또는  ‘릉’은 죽어 편안히 누워 잠을 자는 곳이므로 대릉을 찌름으로써 편안히 잠들게 한다고 하였다. 화가 치솟아 불안한 마음으로 번민의 밤을 보내는 이들에게 편안한 잠을 선사하는 혈자리. 혈자리 대릉은 수궐음심포경의 수혈(輸穴)로서 오행상 토(土)에 속한다. 또 심포경의 원기를 간직하고 있는 원혈(原穴)이기도 하다. 대릉은 심기가 울체되어 소통되지 않는 불안한 마음을 잡아준다. 심포경의 원혈이니 마음작용에 크게 쓰이고, 중심을 잡아주는 토의 역할을 톡톡히 하는 것이다. 마음(心)에 치우치고 넘친 것은 화의 속성처럼 훨훨 타올라 자기를 소진시킨다. 몸은 뜨겁고 눈은 뻘겋게 달아오른다. 달아오른 불은 머리까지 올라와 두통이 생기고 망상이 피어오를때 유효한 혈이다.

 

-. 간사(間使) ; 길을 찾다.

수궐음심포경의 혈자리들 가운데 정신질환에 효과를 발휘하는 혈(穴)은 간사(間使)다. “간(間)은 틈을 말하며 사(使)는 명령을 수행하는 자를 말한다. 간사(間使)는 마치 임금과 재상이 함께 정치를 행하여 도(道)를 실행하는 것과 같다.”일단 간(間)은 간사혈의 위치 때문에 붙여진 글자다. 간사혈은 손바닥 쪽에 있는 손목주름에서 몸 쪽으로 3치 떨어진 곳에 있다. 주먹을 쥐면 두 힘줄이 튀어나오는데 그 사이가 바로 간사다. 과거의 사람들은 이 사이길로 귀신이 지나다닌다고 생각했다. 하여, 간사혈에 귀로(鬼路)라는 별명을 붙였다. {귀(鬼)로 시작되는 별명을 가진 혈자리는 모두 13개다. 이들을 한데 묶어 십삼귀혈(인중,소상,은백,대릉,신맥,풍부,협거,승장,노궁,상성,회음,곡지,설하,+간사,후계)이라고 부른다. 이 귀혈들은 주로 정신질환을 고치는데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

사(使)는 명령을 수행하는 사람이라는 뜻에서 붙었다. 몸의 군주인 심(心)과 그 심(心)을 호위하는 신하인 심포가 길(道)을 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곳. 그러한 기능을 하는 곳. 여기가 간사혈이라는 의미다. 

간사혈은 담(痰)을 없애고 심기(心氣)를 안정시킨다. 또 구멍들을 열어 뭐든 고이지 않도록 만든다. 『동의보감』에서는 미친증이 나고, 땀이 나오지 않고, 갑자기 심통이 생기고, 큰 추위가 가슴에 맺혀 마른기침을 하면서 사지가 차가워졌을 때 간사혈에 뜸을 뜨면 죽어가는 사람도 살릴 수 있다고 적었다. 몸의 상태는 마음과 별개가 아니다. 마음의 상태가 곧 몸의 상태로 드러난다. 우리 마음이 차갑고 안정되지 못하면 몸 곳곳이 뭉치고 맺혀서 아프다.

 

-. 곡택(曲澤) ; 심(心)의 불을 끄는 소방수

곡택(曲澤)의 ‘곡’은 굽힌다는 뜻이다. 팔의 굽어지는 곳이니 팔꿈치를 가리키며, ‘택’은 물과 풀이 섞여 있는 우묵한 곳을 뜻한다. 하여 곡택은 팔꿈치의 우묵한 곳에 있다. 팔을 약간 구부린 상태에서 엄지손가락과 둘째손가락으로 팔꿈치를 가볍게 잡아보면 굵은 힘줄이 잡힌다. 그 안쪽의 움푹 들어간 곳이 곡택이다.  팔꿈치 관절의 우묵한 연못. 곡택은 수궐음심포경의 합혈이며 수의 성질을 가졌다. 수궐음심포경이 궐음경, 즉 음경이므로 음수(陰水)의 기운이다. 계수(癸水)처럼 활동성이 좋은 물의 성질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하여 멈추고 머물러 있는 혈을 흐르게 한다. 혈을 흐르게 한다는 것은 심장의 열이 오르지 않게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혈이 흐르지 않고 뭉쳐 있으면 열이 생기고 그 열은 내려가지 못하고 역기(逆氣)한다.

심포경은 사실상 심장질환이 실질적으로 드러나는 곳이다. 심장은 혈과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고 그런 면에서 혈열을 끌 수 있는 혈로 곡택만한 게 없다. 하여 곡택은 심장의 불을 끄는 소방수다. 이밖에도 곡택은 경련을 진정시키고 수전증에 특효가 있다. 이 두 가지는 서로 관련이 있다. 손을 떠는 것은 일종의 경련이기 때문이다. 경련은 일시적으로 혈이 공급되지 않아서 생긴다. 이때 팔꿈치의 우묵한 곳을 꾹꾹 눌러주시라. 손 떨림은 진정되고 마음도 진정된다. 곡택은 혈열로 인해 발생하는 몸의 문제를 치료하는 혈자리이므로 심의 불을 끄는 소방수라 할 수 있다.

 

[단중혈(膻中穴)]

단중혈은 양쪽 젖꼭지 사이의 한가운데 우묵한 곳에 있다. 목 아래로 널따란 가슴뼈의 중심을 따라 더듬어 내려가다 보면 갈비뼈가 끝나는 곳보다 3~5cm쯤 위로 오목해지는 곳을 찾을 수 있다. 이곳은 우리 몸의 기(氣)가 모두 모였다가 다시 퍼져 나가는 광장과 같은 곳이다. 그래서 '기의 바다(氣海)' 혹은 '황정(黃庭; 넓은 정원)'이라는별명을 가지고 있는 혈이기도 하다. 또한, 옛 도인들은 단중을 중단전(中丹田)이라 하여, 뇌의 상단전(上丹田), 배꼽 아래 하단전(下丹田)과 함께 수행의 중요한 기점으로 삼았다. 단중을 눌러 아프면 아플수록 기(氣)가 한 곳에 뭉쳐있다는 증거다. 그럴 때는 가운뎃손가락(단중이 속해있는 수궐음심포경에 해당하는 손가락이다)으로 단중을 꾹꾹 눌러 주거나, 엄지손가락을 옆으로 눕혀 그 주변을 넓게 쓸어주며 마사지해주면 효과를 볼 수 있다. 뜸을 뜨기도 하지만 침은 위치상의 위험 때문에 되도록 금하고 있다.  단중을 자극하면 뭉쳐있던 기(氣)가 온몸으로 고루 퍼지고 경락이 잘 소통되며 호흡이 편안해지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폐의 경혈. 좌우 22혈. 중부, 운문

Sp7 누곡 : 누(漏)는 새어나오다 라는 뜻이고 곡(谷) : 골짜기 새는 증

YE01 Dori Dori exercise: arm swelling and numbness, neck disc, stroke, dementia 도리도리 운동: 팔 붓고 저림, 목디스크, 중풍, 치매

YE03 Feet(Tiptoe) stroke 발끝치기: Improves blood circulation, raises the temperature of the viscera, improves function, improves metabolism

Hive. 두드러기(급성, 만성)

Minerals

12 Neck shoulder and hands 항견수 2 Shoulder 어깨 3 운동

16 Exercises 운동 7 목 자세, 일자목, 거북목, 목디스크, Forward head pos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