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from July, 2023

1112 두경부근육. 002 SCM

Image
 목에 있는 흉쇄유돌근은  귀 뒤 유양돌기라는 부분에서 시작하여 쇄골과 흉골에 붙어있는 근육입니다.  여러 가지 원인에서 긴장과 수축을 반복하게 되는데요. 잘못된 습관으로 한쪽으로 치우친 자세를 많이 하게 되면 비대칭으로 굳게 되고 굳은 근육으로 인해 얼굴로 통하는 신경과 혈관 림프가 눌리게 되면서  얼굴의 비대칭과 부종 ,사각턱 ,이중턱 등  많은 피부질환과 변형을 만들게 되며 만성적으로 진행된다면 얼굴과 괸련된 모든 질환 뿐만 아니라 두개골 변형까지 만들어  두통 어지럼증 멀미등 자율신경계까지 영향을 끼칠뿐더러 척추의 변형까지도 일으킬수 있는 흉쇄유돌근 .가는목 반듯한 얼굴  밝은안색 작은얼굴

1112 두경부근육. 승모근(trapezius).

Image
승모근(trapezius)-옷걸이 뒤통수뼈에서부터 척추의 아래등뼈로까지 세로로 이어지는, 측면으로는 어깨뼈 척추까지 이어지는 한 쌍의 커다란 표면 근육이다. 어깨뼈를 움직이며 팔을 지탱한다. 등세모근이라고도 한다. 승모근은 3가지 기능적 부분으로 나뉜다: 윗부분은 팔의 무게를 지탱한다. 중간부분은 어깨뼈를 들인다. 아랫부분은 어깨뼈를 내리고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C5, T3, T12 가 기준점(5,5,9) 상 중 하부 승모근 #도리도리 운동 *중추신경(뇌,척수) *말초신경(뇌신경, 말초신경) **뇌신경 5번 삼차신경 10번 미주신경(迷走神經 Vagus nerve)내장기. 우리몸에서 가장 길고 넓게 퍼져 있는 신경. 삼초, 임독맥 11번 부신경(Accessory nerve) 승모근, 흉쇄유돌근에 운동신경으로 작용: 뇌간(호흡)과 변연계(감정)에 영향 12번 혀 **척추신경 감각신경,운동신경(뇌) 자율신경(교감, 부교감) #미주신경성 실신: 의식소실이 일어나기 전에 피로하거나 긴장한 상태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오래 서있거나 심리적 충격을 받는 등 굉장히 긴장한 상태에서 일어납니다. 전구증상으로는 구역감이 들거나 식은땀이 나거나 얼굴이 창백해지는 증상이 발생한 뒤에 의식소실이 일어나게 됩니다. 미주신경은 10번째 뇌신경으로 우리 몸에서 이완 신호를 보내는 역할인 부교감 신경 신호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미주신경성 실신은 주로 긴장도가 증가한 상태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몸이 과도한 긴장상태에 있을 때는 심장이 빨리 뛰게 되면서 팔다리로 피가 많이 몰리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뇌는 과도한 긴장 상태에 대항하기 위해 이완 신호를 미주신경을 통해 몸으로 전달하게 되고, 긴장이 갑자기 확 감소하게 되면서 심박이 느려지고 혈압이 떨어져 머리로 피가 잘 전달되지 않아 의식을 잃게 됩니다. 이를 미주신경성 실신이라고 합니다. *어깨 세모근(삼각근)과 등세모근(승모근)은 중력에 대하여 길항작용. 등에 담 결릴 때, 시릴 때 : 승모근 tp3, 능형근, 상후거근 기능 승모근 수축(c...

1314 복부 근육들 ( abdominal muscle ) 복횡근(골반저근)-복직근-(추체근)-내복사근-외복사근-(전거근)

Image
 복부 근육들 ( abdominal muscle ) 복근 1.근육해설 치골결합 바로 위쪽에 추체근이 복직근 선상에 있다. 방광괄약근과 연관되는 근육이다. 복부 측면은 바깥에서부터 외복사근, 내복사근, 복횡근으로 구성 되어 있다. 가성내장성 통증, 강한 상호적인 체내장성 작용과 내장체성 작용이 나타난다. 비만은 복직근 보다는 복사근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복강의 압력 증가 및 감소 요인이 될 수가 있고 장기의 운동과 관련된다. 허리의 통증은 대개가 복부의 긴장과 연관이 되어 있고, 복근은 요통의 직, 간접적 원인이 되기도 한다. 코어강화운동의 핵심인 iap(intra-abdominal pressure)를 만드는 핵심근육들 이다. 내외복사근 - 특히 외복사근은 코어강화의 핵심, 외복사근은 전거근과 발생학적으로 같은 기원을 가지고 있다. 복횡근은 팔을 뻗는 것, 대뇌의 반응보다 먼저 근수축을 하고 골반저근육(pelvic floor muscle)은 복횡근과 동시수축 한다. 복횡근-복직근-내복사근-외복사근 순서로 수축한다. 총 5개의 근육으로 이루어진 배근육은 복부의 중심에 수직으로 위치한 근육은 복곧은근(복직근)과 배세모근(추체근)이며, 복직근보다 몸의 외측에 위치한 근육은 배가로근(복횡근), 배속빗근(내복사근), 배바깥빗근(외복사근)입니다. 2.해부학적 부착    (1)복직근 : 제 5,6,7늑연골 / 치골릉    (2)추체근 : 치골결합에서 배꼽사이의 백선 / 치골결합    (3)외복사근 : 제6~12번 늑골 / 백선, 장골능의 전반부와 복부 건막    (4)내복사근 : 서경인대의 외측절반, 장골능 전방 2/3하부 요부 건막 / 제9~12늑연골, 복부 건막    (5)복횡근 : 서경인대의 외측 1/3흉요부 근막과 하부 6개 늑연골의내측 / 백선 치골 복부건막    (6)신경지배 : 복직근 - T5~T12늑간신경       ...

무기력증 lethargy, no energy, no motivation, lost direction. 일상의 회복

Image
 무기력증의 반대는 일상의 순조 . 스트레스, 번아웃은 범인이 있다. . 무기력은 범인이 없다. 방향상실, 의욕상실, 할 것 없음, 하지 않음 (반대로 작은 것이라도 그냥 지금 바로 해 볼 것. 설겆이라도...) . 에너지도 소진되면 번아웃(삶의 번아웃, 완전 플랫) / 에너지가 남아 있으면 사고의 진전으로 우울, 공황 (극복은 일상의 유지, empathy -존중포함, 격려, 실패했어도 뛰어난 점, 가능성, sympathy 연민, 존중감 없음, 위로, 좌절을 남길 수 있음) .초기 증상.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다. 피곤하다. 종일 가만히 누워만 있어도 몸이 무겁고, 세상만사가 귀찮고, 일상의 모든 것이 무의미하게 느껴질 때가 있다. 마음을 다잡고 뭔가 해보려고 해도 다시 침대에 누워버리기 일쑤. 따뜻한 봄 날씨를 핑계 삼기엔 증상이 심각하고 계속된다면, ‘무기력증’을 의심해 봐야 한다. 나는 무기력증일까? 단순히 귀찮아서인지, 아니면 유독 컨디션이 안 좋아서인지, 정말 무기력증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무기력의 다섯 가지 증상 그렇다면 무기력이란 정확히 무엇일까? 무기력이란 ‘자발성과 의욕이 상실된 상태’다.  그렇다고 모든 일이 귀찮다고 해서 다무기력증은 아니다.  미국의 심리학자 마틴 셀리그먼은 무기력의 증상으로 다섯 가지를 손꼽았다. 첫째, 행동하지 않는다. 어떤 일에 대해 자발적으로 나서서 하지 않는다는 것이 무기력의 가장 큰 증상이다. 둘째, “나는 뭘 해도 안 돼”라고 생각한다. 자신이 상황을 바꿀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그것을 반복하게 되면 자신이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지 못하게 된다. 셋째, 마음은 물론, 몸도 아프다. 무기력해지면 슬픔, 우울, 불안 등 부정적 감정들이 생겨나는데,  이러한 부정적 정서가 육체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지나치게 수동적이다. 무기력한 사람들은 자신에 대한 공격에 대항하지 않고 받아들인다.  자신이 막을 수 없다고 생각...

1314 몸통. 위. 상/하후거근, 횡경막, 늑간근-호흡

Image
상후거근 (serratus posterior superior muscle), 심 흡기 하후거근 ( Serratus posterior inferior muscle) 심 호기 횡격막 (가로막, Diaphragm) 늑간근(intercostalis) : 흡기끝에 통증 있는 횡경막통과 달리 호흡에 통증, 척추보다 가슴몸통 상후거근 (serratus posterior superior muscle) 1.근육해설 상후거근은 척주에서 늑골로 부착되어 있는 근육으로 심부에 있다. 위로 능형근, 승모근, 중부섬유가 덮고 있고, 아래로 판상근, 반극근 척추기립근들이 주행한다. 발통점을 자극하기 위해서는 부착되어지는 늑골을 가늠해야 쉽게 찾을 수 있다. 상후거근은 능형근과 방향이 비슷하다 능형근은 상후거근이 늑골에 부착하는 것과는 달리 견갑골의 내측연에 부착하여 견갑골을 움직인다. 상후거근은 바로 위에 위치한 견갑골의 움직임에 의해 막이 손상을 받을 수가 있다. 상후거근까지 문제가 생긴 환자는 만성이라고 봐야 한다. 승모근 중부섬유를 지나 능형근 마저 손상이 된 후 온다고 보면 된다. 2.해부학적 부착 및 신경지배 (1) 기시부 : C6~T2의 극돌기 (2) 정지부 : 2,3,4,5 늑골의 두개연 능형근은 상후거근의 천층에 위치하며, 흉최장근, 흉장늑근은 심층에 위치한다 (3) 신경지배 : T1~T4신경 3.기능적 관점 흉추골을 고정한 경우 늑골을 끌어 올린다. 가슴을 확장시키고 흡기를 돕는다. 일반적인 호흡이 아니라 심호흡과 함께 견갑골을 완전히 내전시키면서 머리를 뒤로 젖히고 흉추를 신전하는 동작에서 근이 강하게 수축한다. 단독으로 작용하기보다는 척추기립근과 견갑골 내전 근육들과 함께 움직인다. 만일 승모근이나 능형근이 긴장상태에 있다면 상후거근은 수축하기가 어렵다. 늑골이 고정되어진 경우 편측의 경우는 상흉추를 한 쪽으로만 당겨 회전을 하게 한다. 물론 상후거근의 힘에 의해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능형근과 승모근 중부섬유의 기능이 먼저 우선한다. 결과적으로 상흉추가 측만되고...